우분투 한국 로컬팀 역할
깊이있는 삽질 Ubuntu Korea Community Wiki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는 현재 총 11명 / 분야의 운영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크게 온라인 / 오프라인 / l10n 세 분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각 직책의 분류 및 역할은 리더의 권한에 따라 추천 및 임명되며, 필요에 따라 직책을 새로 신설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각 운영진은 운영진 임기 시작일 부터 종료일까지 ubuntu-kr.org 도메인의 메일 계정 및 백 오피스 계정을 부여받습니다.
또한, IRC 채널 및 Slack 채널에서 개인 계정을 생성하여 회의를 진행하게 됩니다.
직책의 안내
Leader
리더는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의 대표로서, 국내외의 모든 우분투 관련 업무를 처리하게 됩니다.
아래에 명시되는 모든 분야 및 직책의 업무에 관여할 수 있으며, 적절한 업무의 분배 및 처리가 요구됩니다.
특히 타 커뮤니티, 스폰서, 캐노니컬, 사용자 및 기여자의 의사소통에 가장 중점적인 소통이 주 업무입니다.
리더는 사용자와 기여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더 나은 우분투 환경 및 배포, 발전을 위해 최대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Vice Leader
온라인 담당
Contactor
Global Wiki Provider
Korean Wiki Provider
Forum Master
IRC Manager
Mailing Provider
오프라인 담당
Event & Media Manager
Contents Creator
l10n
우분투의 로컬라이징 / 번역을 담당하는 중요 직책이면서, 향후 각종 Contribution(버그 리포팅, 코드 커밋 등)과의 발전과도 연계가 되어있는 곳입니다.
런치패드에 번역팀이 따로 존재 할 정도로 중요하며, 번역 제안과 검토를 할 수 있습니다.
각 직책별 역할
Leader
- 회계
- 사업
- Launchpad
Vice Leader
Contactor
Global Wiki Provider
Korean Wiki Provider
Forum Master
IRC Manager
Mailing Provider
Events & Media Manager
- 세미나
세미나 장소를 토즈로 예약합니다.
- 스터디
- 공개 교육 / 공모전
- Onoffmix
- Youtube
- Google+
Contents Creator
l10n
- 런치패드 번역팀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번역 제안을 통해 카르마가 5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번역 Suggestion(제안) 및 Review(검토)를 할 수 있습니다.
- 번역 단어집을 만들고 관리합니다.(참고 : 오픈스택 단어집)
- 매 버전 릴리즈마다 발생하는 Asian Font 관련 문제 및 버그를 다른 운영진에게 알려 Bug reporting이 되게 하고, 문제를 해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