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마켓"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깊이있는 삽질 Ubuntu Korea Community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ket)은 구글이 운영하고 있는 구글 안드로이드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1번째 줄: 1번째 줄: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ket)은 구글이 운영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구글 안드로이드]]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애플 (기업)|애플]]의 [[앱 스토어]]와는 다르게 안드로이드 마켓은 구글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가 구입한 지 24시간 내에 다운로드한 응용 프로그램의 환불을 요구하면 구매 금액을 모두 환불해 주어야 한다.
+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ket)은 구글이 운영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구글 안드로이드]]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애플 (기업)|애플]]의 [[앱 스토어]]와는 다르게 안드로이드 마켓은 구글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가 구입한 지 2시간 내에 다운로드한 응용 프로그램의 환불을 요구하면 구매 금액을 모두 환불해 주어야 한다.
  
 
== 역사 ==
 
== 역사 ==

2020년 6월 14일 (일) 09:02 기준 최신판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ket)은 구글이 운영하고 있는 구글 안드로이드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애플앱 스토어와는 다르게 안드로이드 마켓은 구글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가 구입한 지 2시간 내에 다운로드한 응용 프로그램의 환불을 요구하면 구매 금액을 모두 환불해 주어야 한다.

역사[편집]

안드로이드 마켓은 2008년 8월 28일에 발표되어 2008년 10월 22일부터 이용이 시작되었다. 미국영국의 유료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판매 지원은 2009년 2월 중순부터 시작되었다. 영국의 사용자들은 2009년 3월 13일부터 유료 응용 프로그램이 구매가 가능해졌다. 2009년 3월 17일, T-모바일의 안드로이드 마켓에는 2300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존재했다.

응용 프로그램의 갯수는 2009년 12월 2만개, 2010년 8월에 8만개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누적 다운로드 건 수는 10억 번을 돌파했다. 2010년에는 1달에 1만개에 가까운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들이 안드로이드 마켓에 등록 되는 등,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 10월 25일에, 안드로이드 개발자 트위터 계정에서는 안드로이드 마켓에 10만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되었다고 발표했다. 2010년 7월에 발표된 디스티모라는 회사의 조사 자료에 의하면, 안드로이드 마켓에 등록된 무료 응용 프로그램의 갯수는 전체의 57%로, 애플앱 스토어의 무료 응용 프로그램의 비율이 28%로임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수치이다. 그 밖에 노키아 오비 스토어와 블랙베리 앱 월드는 26%의 무료 응용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었고, 윈도우즈의 마켓 플레이스]는 고작 22%밖에 되지 않았다.

주석[편집]


바깥 고리[편집]